AboutProject
Feed
Contact



USM_10corsocomo
client
type
space area
completion
space logic
pop up
117㎡
2024. 11

USM과 comme si의 텍스타일을 결합하여 재구성한 팝업 전시이다. 재료에서 오는 단단한 느낌이 매력인 USM이지만 comme si와의 협업을 통해 부드럽고 따뜻하게 만들어지는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졌다.


NAMSAN WEARHOUSE
client
type
space area
completion
wearhouse
space
62㎡
2024. 08

남산 아래 명동. 다양한 사람들이 오고 가는 동네 한 골목에는 초록색 빛이 흐릿하게 새어나오고 있다. 빛을 따라가면 보이는 것은 작은 창고. 그 창고 속 작은 세상에는 남산의 푸름과 저마다의 빛깔을 지닌 꽃들이 틈새에 피어나고 있다 .


Nukak coex
client
type
space area
completion
upcyclist
space
55.4㎡
2024. 07

누깍은 배너, 현수막 등을 재사용해 재료의 버림을 줄인다. 공간의 주요 마감인 알루미늄 프로파일은 규격화된 소재로 여러부속과 응용이 가능해 재료의 버림을 줄일 수 있다.


LAZY STUDIOS hongdae
client
type
space area
completion
LAZY STUDIOS
pop up
72m²
2024.07
호기심이 많은 소희는 세상이 즐겁다. 이것저것 다 해보고 싶지만 그럼에도 타투는 조금 망설여져 헤나를 주로 사용한다. 귀걸이, 반지를 하듯 액세서리처럼 쓰는 것이 괜찮은 것 같기도 하다. 오늘은 어떤 것을 할까 골라본다.



LOUNGE X ifc


client
type
space area
completion
XYZ
space
72.6m²
2023. 12
로봇팔이 움직이는 구조를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로 가져왔다. xyz축의 회전을 통해  팔을 움직이는 것을 흥미롭게 보아 기둥과 모서리 지점에서 축을 기준으로 틀어진 형태가 등장한다.



LAZY STUDIOS
client
type
space area
completion
LAZY STUDIOS
furniture
39.8m²
2023. 11
살 위에 올려진 타투는 피부의 질감과 색을 만나서 개인마다 고유의 모습으로 자리잡는다. 공간에서 반투명 아크릴은 후면에 자리한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선명도를 다르게 드러내 타투스티커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반영한다.



  • LOUNGE Xr kakao

  • client
  • type
  • space area
  • completion
XYZ
furniture
26.4m²
2023. 07
새로운 기술이 이제껏 보지 못한 모습으로 다가오는 것과 익숙한 모습 뒤에 품어져 있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인상적일까. 이곳은 익숙함을 선택했다.



  • Sikmulsung yeonsu
    client
    type
    space area  
    completion

    N.THING
    space
    198m²
    2023. 06
    농장을 건물 안에 두는 첫 번째 매장 이후, 조경을 끌어들여 농원에 있는 것처럼 산책로가  만들어졌다.



    • Nukak
      client
      type
      space area
      completion

      upcyclist
      space
      297m²
      2023. 06


      누깍은 배너,현수막 등을 재사용해 재료의 버림을 줄인다. 공간의 주요 마감인 알루미늄 프로파일은 규격화된 소재로 여러부속과 응용이 가능해 재료의 버림을 줄일 수 있다.


      ept
        client
        type
        space area
        completion
        east pacific trade
        space
        103m²
        2022. 08

        기존에 가득 채워져있던 곳으로 주로 비우고, 깎아내며 필요한 곳에 덩어리가 생기는 것으로 공간이 만들어져 갔다. 접근의 용이성과 개방에 대한 관점으로 구성되었다.